
주식회사는 자본단체이므로 자본이 없이는 성립할 수 없습니다. 자본은 사원인 주주의 출자이며 권리와 의무의 단위로서의 주식으로 나누어집니다. 따라서 주식에는 자본을 구성하는 분자로서의 금액의 뜻과 주주의 회사에 대한 권리, 의무의 단위인 주주권으로서의 뜻이 있습니다. 주식의 개념 주식과 유사한 것에 합병회사나 합자회사의 지분이 있으나, 주식은 1인이 많이 소유할 수 있는데 반하여 지분은 각인의 출자분을 각각 하나의 지분으로 하는 점에 양자의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식과 주권을 혼동하는 일이 많으나, 주권은 주식을 표창하는 유가증권입니다. 주식을 줄여 '주'라고 하며 소유자를 '주주'라고 합니다. 자본구성분자로서의 주식의 의미에서 주식회사의 자본은 주식으로 분할하여야 하며, 주식의 금액은 균일하여야 ..

임대아파트는 임대주택의 일종으로서 정부와 주택기금의 자금을 이용해 건설한 아파트를 말합니다. 임대아파트는 주로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소평 평수를 지어 임대방식으로 거주할 수 있게 하는 아파트입니다. 임대아파트 형태의 임대주택 건설은 소득 재분배와 시장의 불완전성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 그 목적입니다. 임대아파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 국민임대주택은 지자체나 한국토지주택공사 등에서 일정한 소득수준 이하의 저소득층을 배려해 시행하는 장기임대 주택으로, 공공임대주택과 달리 분양전환이 되지 않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임대주택이란 무주택 시민의 주거생활안정과 주거 수준의 향상을 뒷받침하기 위해 공공기관과 민간업체가 국민주택 규모이하의 크기로 아파트를 건설해 저렴한 보증금과 임대료를 제공해 주는 주택입니다. 임대를 ..

부동산학은 학자의 학문적 배경과 관심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의 몇몇 학자들의 부동산학에 대한 정의를 비교함으로써 그 차이를 인식할 수 있게 됩니다. 부동산학에 대한 개념과 정의 부동산학에 관한 주요 사고방식은 기업활동의 종합적, 통일적 실천원리를 규명함과 동시에 그에 입각한 여러가지 실천원칙을 체계적으로 확립함을 목적으로 하는 경영학의 정의, 자본 및 이윤 계산의 체계에 관한 원리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회계학의 정의, 기업 경영에서의 과학적 관리법을 국가기능에 적용하여 행정기능을 향상하려고 하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서 탄생학 행정학의 정의등과 유사합니다. 다만 경영학은 기업기능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회계학은 기업의 회계제도를, 행정학은 행정기능을 각각 그 연구 대상..

전세란 보증금을 맡기고 남의 집에 임차한 뒤 계약기간이 끝나면 보증금을 돌려받는 주택임대차 유형을 말합니다. 전세를 개설할 때 주택가격의 일부를 보증금으로 맡기고 남의 집을 빌려 거주한 뒤 계약기간이 끝나면 보증금을 돌려받는 주택임대차 유형으로 월세를 내지 않는다는 점에서 월세와 차별화되는 개념입니다. 전세의 연원 및 변천 우리나라 전세 제도의 기원은 1876년 강화도 조약 이후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당시 부산, 인천, 원산 등 3개 항구 개항과 일본인 거류지 조성, 농촌인구의 이동 등으로 서울의 인구가 급격히 늘면서 주택임대차관계가 형성되었습니다. 조선말기 전세가격은 기와집과 초가집에 따라 달랐으며, 보통 집값의 반 정도로 전셋값을 받았으며 비싼 곳은 집값의 7∼8할에 육박했습니다. 전세기간은 통상 ..